시도별 TOP 17
경기도에서만 12,941호의 미분양 아파트가 나오면서 광역 지자체 단위에서는 가장 많은 미분양 세대수를 기록했습니다.
2위는 대구(9,065호) 3위는 경북(5,849호)으로 지자체 규모 대비 매우 많은 수가 미분양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세종은 그 규모가 작은 만큼 57호만이 미분양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서울은 전국에서 가장 큰 광역 지자체 단위임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숫자가 943호로 매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참고: 특례시, 광역시, 특별시에 대해 알아보기
특례시, 광역시, 특별시에 대해 알아보기
1. 시, 읍 인구 기준 지방자치법에 따라 시는 그 대부분이 도시의 형태를 갖추고 인구 5만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은 도농(都農) 복합형태의 시로 할 수 있
jingoo.tistory.com
순위 | 지역 | 세대수 |
1위 | 경기 | 12,941호 |
2위 | 대구 | 9,065호 |
3위 | 경북 | 5,849호 |
4위 | 충남 | 4,817호 |
5위 | 경남 | 4,757호 |
6위 | 부산 | 4,709호 |
7위 | 강원 | 3,855호 |
8위 | 전남 | 3,815호 |
9위 | 울산 | 3,505호 |
10위 | 전북 | 3,336호 |
11위 | 제주 | 2,534호 |
12위 | 충북 | 2,186호 |
13위 | 대전 | 2,105호 |
14위 | 인천 | 2,021호 |
15위 | 광주 | 1,298호 |
16위 | 서울 | 943호 |
17위 | 세종 | 57호 |
시군구별 TOP 30
경기도 평택시가 4,855호로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가장 많은 미분양 세대수를 보유한 지자체로 조사되었습니다. 고덕신도시, 지제역을 중심으로 신축 아파트가 많이 준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입주율을 보이며 악성 미분양이 많은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떠안게 되었습니다.
2위는 대구 달서구(2,719호)로 나타났는데 대구는 달서구뿐만 아니라 7위 대구 북구(1,671호), 25위 대구 동구(1,059호), 26위 대구 수성구(1,031호) 등을 합치면 미분양 규모가 매우 큰 지역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경북 포항시도 남구와 북구를 모두 합치면 5,000호 이상의 미분양 아파트가 나왔고, 경남 창원시도 자치구를 모두 합치면 6,500호 정도가 미분양 상태인 것으로 추산됩니다.
※ 참고: 2022년 여권 파워 순위
2022년 여권 파워 순위
핸리 앤드 파트너스 발표, 세계 여권 지수 국제교류 전문업체인 핸리 앤드 파트너스가 국제항공운송협회로부터 제공받은 세계 여행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의 여권으로 무비자 여행이
road2ace.tistory.com
순위 | 지역 | 세대수 |
1위 | 경기 평택시 | 4,855호 |
2위 | 대구 달서구 | 2,719호 |
3위 | 경북 포항시 남구 | 2,551호 |
4위 | 경북 포항시 북구 | 2,551호 |
5위 | 경기 양주시 | 1,722호 |
6위 | 제주 제주시 | 1,685호 |
7위 | 대구 북구 | 1,671호 |
8위 | 경기 이천시 | 1,531호 |
9위 | 충남 아산시 | 1,437호 |
10위 | 울산 울주군 | 1,381호 |
11위 | 충남 천안시 동남구 | 1,353호 |
12위 | 충남 천안시 서북구 | 1,353호 |
13위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 1,299호 |
14위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 1,299호 |
15위 | 경남 창원시 진해구 | 1,299호 |
16위 | 경남 창원시 의창구 | 1,299호 |
17위 | 경남 창원시 성산구 | 1,299호 |
18위 | 인천 서구 | 1,272호 |
19위 | 경남 김해시 | 1,229호 |
20위 | 울산 남구 | 1,228호 |
21위 | 강원 강릉시 | 1,212호 |
22위 | 전남 광양시 | 1,191호 |
23위 | 전북 익산시 | 1,108호 |
24위 | 경북 구미시 | 1,084호 |
25위 | 대구 동구 | 1,059호 |
26위 | 대구 수성구 | 1,031호 |
27위 | 경북 경주시 | 1,029호 |
28위 | 강원 속초시 | 999호 |
29위 | 전북 군산시 | 975호 |
30위 | 충북 음성군 | 958호 |
서울시 TOP 25
2025년 3월 31일 기준, 서울 자치구별 미분양 아파트 현황을 순위대로 나열해 보면 강동구가 287호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위는 동대문구(170호), 3위는 강서구(145호)로 확인되었는데 4위부터는 미분양 세대수가 확연히 줄어들어 14위에 해당하는 동작구(1호) 이후로는 11개 자치구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참고: 2025년 서울 집값 상승률 순위(매매, 전세)
2025년 서울 집값 상승률 순위(매매, 전세)
자치구별 매매 순위지난 2024년 5월 1일부터 2025년 5월 31일까지 1년간 서울에서 주택 매매 증감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강남구로써 27.80%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위는 서초구(23.37%), 3
rlasbtm.tistory.com
순위 | 지역 | 세대수 |
1위 | 강동구 | 287호 |
2위 | 동대문구 | 170호 |
3위 | 강서구 | 145호 |
4위 | 도봉구 | 70호 |
5위 | 구로구 | 63호 |
6위 | 강북구 | 60호 |
7위 | 광진구 | 55호 |
8위 | 마포구 | 53호 |
9위 | 양천구 | 25호 |
10위 | 금천구 | 8호 |
11위 | 관악구 | 4호 |
12위 | 중구 | 1호 |
13위 | 용산구 | 1호 |
14위 | 동작구 | 1호 |
15위 | 종로구 | 0호 |
16위 | 성동구 | 0호 |
17위 | 서대문구 | 0호 |
18위 | 영등포구 | 0호 |
19위 | 중랑구 | 0호 |
20위 | 서초구 | 0호 |
21위 | 성북구 | 0호 |
22위 | 은평구 | 0호 |
23위 | 노원구 | 0호 |
24위 | 강남구 | 0호 |
25위 | 송파구 | 0호 |
※ 출처: 리치고(2025년 4월 1일)
'교양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전국 명문 고등학교 랭킹 (6) | 2025.06.10 |
---|---|
2025년 전국 명문 초등학교 랭킹 (0) | 2025.05.23 |
2025년 지역별 평균 연봉 순위 (3) | 2025.05.18 |
2025년 전국 아파트 노후도 순위 (1) | 2025.05.11 |
2023년 한국 직장인 평균 월급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