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상식

세계 역대 최대 지진 순위

징구스칸 2025. 7. 3. 12:44
반응형

지진피해로-무너져버린-건물들
세계 역대 최대 지진 순위

 

세계 지진 규모 순위

20세기 이후로 전 세계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그 규모가 가장 컸던 곳은 <칠레 바이오-바이오> 지역으로써 무려 9.5 규모의 지진이었습니다.

 

2위는 미국 알래스카 남부(9.2), 3위는 수마트라 북부 서해안(9.1), 4위는 일본 혼슈 동해안 근처(9.1)였는데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쓰나미 대재난, 동일본 대지진이 바로 3위와 4위에 해당합니다. 

 

이후의 순위들도 칠레, 알래스카, 수마트라, 일본, 캄차카 등 비교적 같은 지역대에서 대규모의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참고: 세계의 은행 예금 보호한도 금액

 

세계의 은행 예금 보호한도 금액

대한민국우리나라는 지난 2025년 1월 21일 자로 개정된 예금자보호법에 근거하여 은행에 맡겨진 예금을 최대 1억 원까지 정부가 보장해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해당 개정안은 2025년 9월 1일 자로 시

jingoo.tistory.com

발생일 규모 지역
1960-05-22 9.5 칠레 바이오-바이오
1964-03-28 9.2 알래스카 남부
2004-12-26 9.1 수마트라 북부 서해안
2011-03-11 9.1 일본 혼슈 동해안 근처
1952-11-04 9.0 러시아 캄차카 반도 동해안
2010-02-27 8.8 칠레 바이오-바이오 외곽
1906-01-31 8.8 에콰도르 해안 근처
1965-02-04 8.7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랫 섬
2005-03-28 8.6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부
2012-04-11 8.6 수마트라 북부 서해안
1957-03-09 8.6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안드레아노프 제도
1946-04-01 8.6 알래스카 남부
1938-02-01 8.5 반다해
1922-11-11 8.5 칠레 아타카마
1963-10-13 8.5 쿠릴열도
1923-02-03 8.4 러시아 캄차카 반도 동해안 부근
2007-09-12 8.4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남부
2001-06-23 8.4 페루 남부 해안 근처
1933-03-02 8.4 일본 혼슈 동해안

※ 참고: 여행경보 단계별 국가 리스트

 

여행경보 단계별 국가 리스트

여행경보제도란? 우리나라 국민의 안전한 해외 거주·체류·방문을 도모하기 위해 2004년부터 외교통상부에서 운영해오고 있는 제도로써 주의가 요구되는 국가(지역)의 위험 수준을 4단계로 분류

road2ace.tistory.com

지진연구센터-세계지진규모순위
지진연구센터, 세계 지진 규모 순위

 

우리나라 지진 규모 순위

우리나라는 예부터 지진 안전지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규모 지진 피해와는 거리가 먼 곳이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규모 5.0에 가까운 지진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 2016년에 있었던 지진은 포항, 경주 지역에 큰 피해를 가져다주면서 대한민국의 지진 안전 불감증에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사례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규모 6.0을 넘어서는 지진이 발생한 적은 없으나 옆나라인 일본이 큰 규모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겠습니다. 

※ 참고: G7 국가 노동시간 순위

 

G7 국가 노동시간 순위

G7 국가 뜻1970년대 국제사회가 세계경제의 위기를 대처하는 과정에서 출범한 협의체로써 국제정치, 경제 사안에 대한 토의를 위한 정상 간 대화협의체입니다.(발췌: 외교부) 참고로 OECD는 경제협

rlasbtm.tistory.com

발생일 규모 지역
2016-09-12 5.8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km 지역
1980-01-08 5.3 평북 서부 의주-삭주-귀성 지역
2004-05-29 5.2 경북 울진군 동남동쪽 74km 해역
1978-09-16 5.2 충북 속리산 부근 지역
2016-09-12 5.1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km 지역
2014-04-01 5.1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km 해역
2016-07-05 5.0 울산 동구 동쪽 52km 해역
2003-03-30 5.0 인천 백령도 서남서쪽 88km 해역
1978-10-07 5.0 충남 홍성군 동쪽 3km 지역
2013-05-18 4.9 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
2013-04-21 4.9 전남 신안군 흑산면 북서쪽 101km 해역
2003-03-23 4.9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88km 해역
1994-07-26 4.9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128km 해역

※ 출처: 지진연구센터

지진연구센터-우리나라-지진규모순위
지진연구센터, 우리나라 지진 규모 순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