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고령화지수
고령화지수는 국내 14세 이하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를 수치화하여 살펴보는 것으로써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고령화지수가 100을 넘기면서 노인층이 유소년층보다 더 많아졌습니다.
이후, 출산율 감소 및 의료기술 발달 등으로 고령화지수는 꾸준히 상승하여 2023년 현재는 고령화지수가 167.1에 달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지수 = (65세 이상 인구 ÷ 15세 미만 인구) x 100
연도 | 고령화지수 | 연도 | 고령화지수 |
2011년 | 71.0 | 2018년 | 111.7 |
2012년 | 76.1 | 2019년 | 119.2 |
2013년 | 81.5 | 2020년 | 129.3 |
2014년 | 87.0 | 2021년 | 1395 |
2015년 | 93.0 | 2022년 | 152.0 |
2016년 | 98.4 | 2023년 | 167.1 |
2017년 | 105.1 |
※ 출처: 지표누리

국내 노인 가구수
통계청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7년간 노인가구수는 약 372만에서 약 501만으로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와 함께 사는 3세대 가구의 숫자는 2015년 6.3%에서 2021년 3.4%로 거의 절반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반면, 노인가구를 포함한 전 연령대에서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비중은 32.9%(2015년)에서 36.4%(2021년)로 매년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도 | 노인가구수 | 3세대가구 | 1인가구 |
2015년 | 3,719,624 | 6.3% | 32.9% |
2016년 | 3,867,406 | 5.8% | 33.5% |
2017년 | 4,065,109 | 5.4% | 33.7% |
2018년 | 4,237,675 | 4.9% | 34.1% |
2019년 | 4,458,123 | 4.5% | 34.4% |
2020년 | 4,732,364 | 3.9% | 35.1% |
2021년 | 5,015,574 | 3.4% | 36.4% |
※ 출처: 지표누리

국내 독거노인비율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7년간 만 65세를 넘긴 노인 인구는 약 230만 명이 증가했고, 노인 혼자서 가구를 꾸려 살아가는 1인 노인 가구수 또한 약 60만 호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를 독거노인비율로 계산하여 수치화하면 2016년 독거노인 비중은 18.8%에서 2022년 20.8%로 2% 포인트가량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문제는 노인과 관련한 모든 통계 지표가 해를 거듭할수록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점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맞춰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독거노인비율 = (65세 이상 1인 가구수 ÷ 65세 이상 인구) x 100
연도 | 노인 인구 | 노인 1인 가구수 | 독거노인비율 |
2016년 | 6,757,083 | 1,270,519 | 18.8% |
2017년 | 7,066,060 | 1,345,161 | 19.0% |
2018년 | 7,366,085 | 1,419,797 | 19.3% |
2019년 | 7,688,994 | 1,503,047 | 19.5% |
2020년 | 8,151,867 | 1,617,739 | 19.8% |
2021년 | 8,571,347 | 1,762,969 | 20.6% |
2022년 | 9,018,412 | 1,875,270 | 20.8% |
※ 출처: 지표누리

'교양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전국 쓰레기 매립지 현황 (0) | 2023.10.15 |
---|---|
전국 교도소, 구치소 위치와 현황 (3) | 2023.10.03 |
2022년 공기업 실적평가 등급표 (0) | 2023.09.08 |
2023년 식량지원 필요 국가 리스트 (0) | 2023.09.03 |
대한민국 반지하 주택: 현황, 문제점,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선택의 모든 것 (0)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