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조선소 세계 순위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 리서치'가 2022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집계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5대 조선사가 모두 세계 1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위는 조선사가 2022년 한 해 동안 수주받은 실적액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매겨졌으며 관계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와 같은 소식을 알렸습니다.
조선소 순위 | 건조량 (21년도) |
수주잔량 | 보유일감 (잔량) |
1. 삼성중공업 | 42척 | 149척 | 4.1년치 |
2. 현대중공업 | 44척 | 140척 | 3.5년치 |
3. 대우조선해양 | 32척 | 120척 | 3.5년치 |
4. 현대삼호중공업 | 30척 | 99척 | 3.6년치 |
8. 현대미포조선 | 45척 | 119척 | 2.4년치 |
※ 영국 클락슨 통계, 2022년 12월 말 수주잔량 기준
세계 선박 수주 점유율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19년 1월과 2023년 1월에 발표한 보도자료를 참고하여 정리한 우리나라의 최근 15년간 세계 선박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은 매년 약 30% 정도의 수주율을 확보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세계의 조선업은 한국, 중국, 일본이 거의 100%에 가깝게 삼등분할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도> | <점유율> | <연도> | <점유율> |
2008년 | 33.0% | 2016년 | 16.7% |
2009년 | 25.2% | 2017년 | 26.9% |
2010년 | 26.8% | 2018년 | 37.9% |
2011년 | 40.3% | 2019년 | 32.3% |
2012년 | 32.7% | 2020년 | 31.8% |
2013년 | 29.9% | 2021년 | 32.8% |
2014년 | 28.8% | 2022년 | 37.0% |
2015년 | 25.9% |
※ 영국 클락슨 통계,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고부가가치 및 친환경 선박 발주 점유율
2022년 전 세계에서 한 해 동안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선박으로 알려져 있는 대형 LNG운반선(168척), 대형컨테이너선(100척), VLCC라 불리는 초대형유조선(2척)들의 선박 발주량은 총 270척이었는데요.
이 중에서 대한민국은 총 117척의 선박 수주를 받으며 세계 고부가가치 선박 발주량의 약 43%를 담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수주받은 선박의 총용량으로 따져 보았을 때는 이보다 훨씬 더 높은 70%의 점유율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리고 세계적인 탄소중립화 노력의 일환으로 LNG, 메탄올, LPG, 전기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 시장의 규모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2022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는 총 167척의 친환경선박을 수주받은 것으로 알려져 화제를 모았습니다.
이는 2022년 세계 친환경선박 총발주량인 527척 가운데 32%를 점유한 것인데,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CGT 단위로 환산했을 때는 무려 절반 이상인 54%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교양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반지하 주택: 현황, 문제점,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선택의 모든 것 (0) | 2023.08.25 |
---|---|
2023년 전국 어린이병원 현황 (0) | 2023.08.19 |
우리나라 군인 수 통계 알아보기(병사, 부사관, 장교) (0) | 2023.08.07 |
우리나라 섬 순위 알아보기 (0) | 2023.08.05 |
순살 아파트와 2023년 시공사 순위 (0)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