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령별 인구구조
지난 2022년 9월 5일, 통계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와 세계의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보고서를 게시하였습니다. 통계청에서는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유소년 인구>, <생산연령 인구>, <고령 인구>로 분류하여 인구구조를 정리했습니다.

2022년 현재, 우리나라의 유소년 인구는 11.5%, 생산연령 인구는 71.0%, 고령 인구는 17.5% 수준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세계 평균인 유소년 인구 25.3%, 생산연령 인구 64.9%, 고령 인구 9.8%에 비해 연령대가 다소 높은 수치입니다.

고령인구 구성비 추이
2022년부터 약 50년 뒤인 2070년까지 대륙별 또는 국가별 고령 인구 구성비 변화를 예측한 자료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모든 나라에서 고령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고령화가 증가 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기도 하지만 이는 이미 전반적으로 고령화가 많이 진행된 이후 소폭 감소하는 정도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예측한 우리나라의 고령화 정도는 2069년경 최정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때 우리나라에서 만 65세 이상인 사람의 비율이 무려 46.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같은 시기, 현재 노인 인구가 많기로 유명한 일본의 고령화 지수는 38.7%로 예측되어 향후에는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더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보입니다.

생산연령 인구 구성비 추이
'경제활동인구'라고도 불리는 생산연령 인구는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향후 5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에 경제활동인구 비율이 최정점에 다다른 이후, 50년간 그 구성비가 급격히 감소하여 2070년에는 세계 평균인 61.4%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46.1%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유엔에서는 고령인구(만 65세 이상)의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 14%를 넘기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번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고령인구가 17.5%에 달하는 우리나라는 현재 초고령사회 진입을 초입에 두고 있는 고령사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양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월드컵 득점왕 (0) | 2022.12.05 |
---|---|
1기, 2기, 3기 신도시 지역 알아보기 (1) | 2022.11.29 |
2021년 세계 출산율 순위 (0) | 2022.11.14 |
2022년 세계 인구 순위 (0) | 2022.11.09 |
우리나라 외국인 통계 현황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