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령화 지수 2

우리나라 독거노인 비중은 얼마나 될까?

국내 고령화지수 고령화지수는 국내 14세 이하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를 수치화하여 살펴보는 것으로써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고령화지수가 100을 넘기면서 노인층이 유소년층보다 더 많아졌습니다. 이후, 출산율 감소 및 의료기술 발달 등으로 고령화지수는 꾸준히 상승하여 2023년 현재는 고령화지수가 167.1에 달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지수 = (65세 이상 인구 ÷ 15세 미만 인구) x 100 연도 고령화지수 연도 고령화지수 2011년 71.0 2018년 111.7 2012년 76.1 2019년 119.2 2013년 81.5 2020년 129.3 2014년 87.0 2021년 1395 2015년 93.0 2022년 152.0 2016년 98.4 2023년 167.1 2017년 10..

교양상식 2023.09.15

우리나라 노령화 지수

노령화지수 계산법 우리나라에서 노인은 만 65세 이상인 사람을 말하는데 노령화지수는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 당 노인 인구의 비율을 뜻합니다. 노령화지수 = (만 65세 이상 인구 ÷ 만 0~14세 인구) × 100 통계청에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약 10년간 우리나라의 노령화지수는 가파르게 상승하여 10년 사이에 노령화지수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노령화지수가 상승하는 폭은 해를 거듭할수록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연도 노령화지수 상승폭 2011년 71.0 - 2012년 76.1 5.1 2013년 81.5 5.4 2014년 87.0 5.5 2015년 93.0 6.0 2016년 98.4 5.4 2017년 105...

교양상식 2023.05.2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