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활동 인구 2

우리나라 노령화 지수

노령화지수 계산법 우리나라에서 노인은 만 65세 이상인 사람을 말하는데 노령화지수는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 당 노인 인구의 비율을 뜻합니다. 노령화지수 = (만 65세 이상 인구 ÷ 만 0~14세 인구) × 100 통계청에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약 10년간 우리나라의 노령화지수는 가파르게 상승하여 10년 사이에 노령화지수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노령화지수가 상승하는 폭은 해를 거듭할수록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연도 노령화지수 상승폭 2011년 71.0 - 2012년 76.1 5.1 2013년 81.5 5.4 2014년 87.0 5.5 2015년 93.0 6.0 2016년 98.4 5.4 2017년 105...

교양상식 2023.05.22

2022년 세계 고령화 순위

연령별 인구구조 지난 2022년 9월 5일, 통계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와 세계의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보고서를 게시하였습니다. 통계청에서는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 , 로 분류하여 인구구조를 정리했습니다. 2022년 현재, 우리나라의 유소년 인구는 11.5%, 생산연령 인구는 71.0%, 고령 인구는 17.5% 수준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세계 평균인 유소년 인구 25.3%, 생산연령 인구 64.9%, 고령 인구 9.8%에 비해 연령대가 다소 높은 수치입니다. 고령인구 구성비 추이 2022년부터 약 50년 뒤인 2070년까지 대륙별 또는 국가별 고령 인구 구성비 변화를 예측한 자료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모든 나라에서 고령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고령화가 증가 후 감소할..

교양상식 2022.11.1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