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24 신청하기

교양상식

세계에서 가장 긴 강 순위 TOP 10

징구스칸 2022. 9. 4. 19:30
반응형

세계에서 가장 긴 강 순위 TOP 10

10위 이 르티시 강

중국, 카자흐스탄, 러시아에 걸쳐 흐르며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서부를 관통하고 있습니다. 총길이 4,248㎞, 유역 299만㎢, 평균 유량 12,800㎥/s입니다. 발원지는 중국, 러시아와 인접한 몽골 국경지역의 알타이 산맥 부근이고 강물이 빠져나가는 하구는 러시아 북극 카라 해협의 '오비 만'입니다.

 

9위 레나강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 '바이칼 호' 근처에서 발원하여 동시베리아를 흘러 북극의 랍테프 해로 빠져나가는 강입니다. 총길이 4,294㎞, 유역 249만㎢, 평균 유량 17,100㎥/s입니다.

 

8위 메콩강

총길이 4,350㎞, 유역 81만㎢, 평균 유량 16,000㎥/s 이르며 '동남아시아의 젖줄'로 불리는 메콩강은 티베트 자치구에서 발원하여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걸쳐 흐르고 있습니다. 남중국해를 통해 강물이 빠져나가며 중국에서는 '란창'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관련기사 열기

7위 콩고강

아프리카에서는 나일강에 이어 두 번째로 긴 강으로 총길이 4,700㎞, 유역 368만㎢, 평균 유량 41,800㎥/s입니다. 아마존강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유역이 넓으며 평균 수심은 세계에서 가장 깊은 곳으로 유명합니다. 발원지는 'Mweru 호수', '탕가니카 호수'이며 아프리카 대륙 서쪽으로 흘러 대서양으로 빠져나갑니다.

 

6위 파라나강

브라질 중남 동부 고원에서 발원하여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볼리비아, 우루과이에 걸쳐 흐르다 대서양으로 빠져나가는 강입니다. 총길이 4,880㎞, 유역 310만㎢, 평균 유량 25,700㎥/s에 달합니다.

 

5위 황하(황허) 강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긴 강이자 중국에서는 양쯔강(장강)에 이어 두 번째로 긴 강인 황하강은 총길이 5,464㎞, 유역 74만 5천㎢, 평균 유량 2,110㎥/s입니다. 칭하이성의 쿤룬 산맥에서 시작되어 황해(서해)로 흘러들어 갑니다.

관련기사 열기

4위 미시시피강

총길이 6,238㎞, 유역 298만㎢, 평균 유량 16,200㎥/s으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긴 강이자 미국에서 가장 긴 강입니다. 미네소타주 이스 타카호에서 발원하여 미국 대륙을 가로질러 멕시코만을 통해 대서양으로 흘러들어 갑니다.

 

3위 양쯔강

'장강'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 후 중국 내륙을 거쳐 동중국해로 흐르고 있습니다. 총길이 6,300㎞, 유역 180만㎢, 평균 유량 31,900㎥/s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입니다.

 

2위 나일강

정확한 발원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나 현재는 빅토리아 호수에서 발원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우간다, 남수단, 에티오피아, 수단, 이집트를 거쳐 지중해로 흘러들어 가며 총길이 6,650㎞, 유역 325만㎢, 평균 유량 2,800㎥/s입니다. 인류의 4대 문명 발상지 중의 하나인 이집트 문명을 탄생시킨 강으로도 유명합니다.

 

1위 아마존강

총길이 6,992㎞, 유역 700만㎢, 평균 유량 209,000㎥/s에 이르는 지구에서 가장 긴 강입니다. 브라질, 페루,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에 걸쳐 흐르며 지구의 허파라고 불리는 아마존 열대 우림의 젖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남아메리카 서쪽 안데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동쪽 대서양으로 흘러갑니다.

관련기사 열기

 

아래에서는 길이 등 강의 규모와 크게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유명한 몇몇 강들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유콘강

미국 알래스카주와 캐나다 북서부 연방 직할 지를 가로지르는 강으로써 총길이는 3,190㎞에  유역은 85만㎢이며 평균 유량은 6,210㎥/s입니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에 있는 애틀린 호수에서 강이 시작되어 미국 알래스카 베링 해를 통해 바다로 빠져나갑니다.

 

인더스강

인더스 문명을 탄생시킨 장본인이라 할 수 있는 유명한 강으로써 총길이 3,180㎞, 유역 96만㎢, 평균 유량 7,160㎥/s입니다.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국, 파키스탄, 인도,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흐른 다음 아라비아 해로 유입됩니다.

 

갠지스강

총길이 2,510㎞, 유역 132만㎢, 평균 유량 12,020㎥/s이며 히말라야 산맥 강고트리 빙하에서 발원 후 인도 북동부 지역을 흐르다 벵골 만을 통해 바다로 유입됩니다. 인도인들은 갠지스강을 매우 신성하게 여겨 평소에는 수행겸 목욕도 하고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화장해 이 강에 뿌리기도 합니다.

 

아무르강

몽골 오논 강에서 발원하여 몽골, 중국, 러시아를 거쳐 동쪽 오호츠크 해로 흘러가는 강입니다. '아무르강'은 러시아에서 부르는 이름인데 중국에서는 '헤이룽 장강', 몽골에서는 '흑룡강'이라고 불립니다. 총길이 2,824㎞, 유역 185만 5천㎢, 평균 유량 11,400㎥/s입니다.

 

유프라테스강

총길이 2,800㎞, 유역 50만㎢, 평균 유량 356㎥/s이며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탄생시킨 강입니다. 터키 동부 고원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이라크를 가로질러 페르시아만으로 유입됩니다.

 

티그리스강

앞서 소개한 유프라테스강과 함께 메소포타미아 문명 탄생에 큰 역할을 한 강으로 유명합니다. 총길이 1,900㎞, 유역 37만 5천㎢, 평균 유량 1,014㎥/s이며 터키 동쪽에 자리한 타우루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시리아, 이라크를 거쳐 흐른 다음 남동쪽에 있는 페르시아 만으로 빠져나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