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24 신청하기

교양상식

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 윌리윌리 알아보기

징구스칸 2022. 9. 3. 10:06
반응형

지구본-위에-바람개비-모양이-있다
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 윌리윌리 알아보기

열대성 저기압의 생성 원인

지구에는 육지와 바다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이 존재하는데 이를 '계절풍'이라고 합니다. 온도가 높은 곳은 저기압 지역이 되고, 온도가 낮은 곳은 고기압 지역이 되는데 바람은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 방향으로 불게 됩니다. 일례로 추운 겨울날 시베리아 지역에서 우리나라로 칼바람이 불어오는 것도 바로 이와 같은 계절풍의 생성 원인과 영향 때문입니다.

관련기사 열기

반대로 뜨거워진 바다에서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육지 쪽으로 바람이 불게 되면 바다와 육지의 온도 차이, 바람의 세기 등으로 저기압과 고기압 차이가 발생하고 이 차이가 거대해지면 '열대성 저기압'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주로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 지역의 해양 상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열대성 저기압'이라 부르며 최대 풍속 17㎧이상, 반지름 500㎞이상 크기를 가지면 '열대성 저기압'으로 정의합니다.

기상청 날씨 누리, 과거 태풍 목록보기

열대성 저기압의 중심기압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그 위력이 더 강한 것으로 보는데 대개 950~1,000헥토파스칼(hPa) 수준입니다. 이런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 부르는 명칭을 달리하는데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태풍',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사이클론', 북중미 지역에서는 '허리케인',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윌리윌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1. 태풍(Typhoon)

영문명으로는 '타이푼(Typhoon)'이라고도 불리는 태풍은 서부 또는 북서부 태평양, 북부 인도양 지역에서 발생해 동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뜻합니다.

물정보포털-아시아-지역의-계절풍
물정보포털, 아시아 지역의 계절풍

동아시아 지역의 열대성 기후 지역에 속하는 필리핀 인근 해역에서 발생하며 여름철 남서 또는 남동 계절풍을 타고 이동합니다. 태풍의 영향권에 속하는 나라들은 필리핀, 베트남, 대만, 일본, 한국, 중국입니다.

 

2. 허리케인(Hurricane)

북중미 대륙 동쪽에 위치한 북대서양 해역에서 발생하여 바람을 타고 멕시코만, 카리브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말합니다.

물정보포털-지구의-풍향과-기압대
물정보포털, 지구의 풍향과 기압대

허리케인의 영향권에 속하는 나라들로는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공화국, 쿠바, 자메이카, 멕시코, 미국 등이 있습니다.

관련기사 열기

 

3. 사이클론(Cyclone)

인도양의 열대기후 지역인 아라비아해, 뱅골만 해역에서 발생하여 편서풍 또는 북동 무역풍을 타고 이동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사이클론'이라고 합니다.

SBS-세계의-열대성-저기압-지도
SBS, 세계의 열대성 저기압 지도

사이클론의 영향권에 속하는 나라들로는 인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미얀마(버마), 파키스탄, 오만, 예멘, 소말리아 등이 있습니다.

관련기사 열기

 

4. 윌리윌리(Willy-Willy)

호주 북동쪽 태평양 해역에서 발생하여 북동 무역풍을 타고 남서쪽으로 이동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윌리윌리'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지난 2006년을 기점으로 사이클론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어 부르고 있고 현재 호주에서 '윌리윌리'라 함은 미국에서 발생하는 토네이도와 같은 모래폭풍, 회오리바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쓰입니다.

호주-기상청-열대성-저기압-지도
호주 기상청, 열대성 저기압 지도

편의상 앞서 소개한 사이클론과 구분하기 위해 윌리윌리의 영향권에 속하는 나라를 살펴보면 호주,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파푸아 뉴기니,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등이 있습니다.

관련 문서 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