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세계 군사력 순위
지난 2022년 4월 9일, 미국의 군사력 평가 기관인 GFP(Global Fire Power)에서는 한 국가의 인구, 병력, 무기, 국방예산 등 총 48개 항목을 근거로 세계 142개국의 군사력을 점수화하여 순위를 매겼습니다. 부동의 1위는 미국으로 그 뒤를 이어 2위 러시아, 3위는 중국이 이름을 올렸고 우리나라는 6위를 기록했습니다.
순위 | 국가명 | 군사력 점수 |
1위 | 미국 | 0.0453 |
2위 | 러시아 | 0.0501 |
3위 | 중국 | 0.0511 |
4위 | 인도 | 0.0979 |
5위 | 일본 | 0.1195 |
6위 | 대한민국 | 0.1261 |
7위 | 프랑스 | 0.1283 |
8위 | 영국 | 0.1382 |
9위 | 파키스탄 | 0.1572 |
10위 | 브라질 | 0.1695 |
11위 | 이탈리아 | 0.1801 |
12위 | 이집트 | 0.1869 |
13위 | 터키 | 0.1961 |
14위 | 이란 | 0.2104 |
15위 | 인도네시아 | 0.2251 |
16위 | 독일 | 0.2322 |
17위 | 호주 | 0.2377 |
18위 | 이스라엘 | 0.2621 |
19위 | 스페인 | 0.2901 |
20위 | 사우디아라비아 | 0.2966 |
21위 | 대만 | 0.3215 |
22위 | 우크라이나 | 0.3266 |
23위 | 캐나다 | 0.3601 |
24위 | 폴란드 | 0.4179 |
25위 | 스웨덴 | 0.4231 |
26위 | 남아공 | 0.4276 |
27위 | 그리스 | 0.4506 |
28위 | 베트남 | 0.4521 |
29위 | 태국 | 0.4581 |
30위 | 북한 | 0.4621 |
글로벌 파이어파워 社에서는 점수가 0에 가까울수록 군사력이 강대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3위 중국과 4위 인도부터의 군사력 격차가 크게 벌어지기 시작하며 화제의 대만은 21위, 우크라이나는 22위, 북한은 30위로 다소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2년 세계 육군력 순위
글로벌 파이어파워 社에서는 단순히 한 국가의 탱크력을 기준으로 육군, 해병대의 군사력 순위를 매기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유한 장비의 첨단화, 보병 숫자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육군력 순위는 다를 수 있습니다.
순위 | 국가명 | 탱크력 |
1위 | 러시아 | 12,420 |
2위 | 미국 | 6,612 |
3위 | 북한 | 5,895 |
4위 | 중국 | 5,250 |
5위 | 인도 | 4,614 |
6위 | 이집트 | 4,394 |
7위 | 시리아 | 3,540 |
8위 | 모로코 | 3,335 |
9위 | 터키 | 3,022 |
10위 | 이란 | 2,831 |
11위 | 파키스탄 | 2,824 |
12위 | 대한민국 | 2,624 |
13위 | 우크라이나 | 2,596 |
14위 | 알제리 | 2,196 |
15위 | 베트남 | 2,044 |
16위 | 이스라엘 | 1,900 |
17위 | 요르단 | 1,401 |
18위 | 그리스 | 1,243 |
19위 | 쿠바 | 1,230 |
20위 | 대만 | 1,110 |
21위 | 사우디아라비아 | 1,062 |
22위 | 일본 | 1,004 |
23위 | 폴란드 | 863 |
24위 | 이라크 | 826 |
25위 | 투르크메니스탄 | 680 |
26위 | 미얀마 | 664 |
27위 | 태국 | 637 |
28위 | 벨라루스 | 601 |
29위 | 캄보디아 | 539 |
30위 | 아제르바이잔 | 510 |
1위는 러시아로써 2위인 미국과 약 2배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고 그 이후 순위는 다소 근소한 차이로 북한, 중국, 인도 순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2위를 차지하였고 우크라이나는 13위, 대만은 20위, 일본은 2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022년 세계 공군력 순위
앞서 살펴본 육군력과 비슷하게 공군력의 측정 또한 한 국가가 보유한 전투기 역량을 기준으로만 국가별 순위를 매기고 있습니다.
순위 | 국가명 | 전투기력 |
1위 | 미국 | 13,247 |
2위 | 러시아 | 4,173 |
3위 | 중국 | 3,285 |
4위 | 인도 | 2,182 |
5위 | 대한민국 | 1,595 |
6위 | 일본 | 1,449 |
7위 | 파키스탄 | 1,387 |
8위 | 이집트 | 1,062 |
9위 | 터키 | 1,057 |
10위 | 프랑스 | 1,055 |
11위 | 북한 | 946 |
12위 | 사우디아라비아 | 897 |
13위 | 이탈리아 | 862 |
14위 | 대만 | 741 |
15위 | 영국 | 693 |
16위 | 브라질 | 679 |
17위 | 그리스 | 633 |
18위 | 독일 | 617 |
19위 | 이스라엘 | 597 |
20위 | 아랍에미리트 | 554 |
21위 | 알제리 | 552 |
22위 | 이란 | 543 |
23위 | 스페인 | 503 |
공동 24위 | 멕시코 | 469 |
태국 | ||
26위 | 콜롬비아 | 454 |
공동 27위 | 폴란드 | 452 |
시리아 | ||
29위 | 인도네시아 | 445 |
30위 | 호주 | 430 |
이에 따르면 1위 미국은 2위인 러시아와 비교해 약 3배 정도의 격차로 세계 최강의 전투 기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후로 2위부터 4위까지 다소 격차를 보이다가 5위인 대한민국의 공군력부터는 근소한 차이로 공군력의 순위가 매겨지고 있습니다.

2022년 세계 해군력 순위
마찬가지로 해군력은 국가별로 보유한 해군 함대의 전력을 기준으로 순서가 평가되고 있습니다.
순위 | 국가명 | 함대 전력 |
1위 | 중국 | 777 |
2위 | 러시아 | 605 |
3위 | 미국 | 484 |
공동 4위 | 콜롬비아 | 450 |
북한 | ||
6위 | 스웨덴 | 316 |
7위 | 인도네시아 | 296 |
8위 | 인도 | 295 |
9위 | 태국 | 292 |
10위 | 스리랑카 | 275 |
11위 | 핀란드 | 246 |
12위 | 이집트 | 245 |
13위 | 대한민국 | 234 |
14위 | 알제리 | 201 |
15위 | 이탈리아 | 184 |
16위 | 프랑스 | 180 |
17위 | 볼리비아 | 170 |
18위 | 터키 | 156 |
공동 19위 | 일본 | 155 |
미안마 | ||
21위 | 멕시코 | 154 |
22위 | 이란 | 142 |
23위 | 스페인 | 139 |
공동 24위 | 칠레 | 133 |
나이지리아 | ||
26위 | 쿠웨이트 | 123 |
27위 | 모로코 | 121 |
28위 | 그리스 | 120 |
29위 | 대만 | 117 |
30위 | 파키스탄 | 114 |
다소 신뢰성에 의문은 가지만 글로벌 파워 파이어 社가 평가한 세계 해군력 순위에서 1위는 중국이고 2위는 러시아, 3위는 미국이 차지했습니다. 이는 국가가 보유한 항공모함, 잠수함, 헬리콥터 운반선 등을 기준으로 평가했다고 조사기관은 홈페이지를 통해 밝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해군력은 13위이고, 일본은 19위, 대만은 29위, 북한은 5위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교양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작비 대비 망한 한국 영화 순위 (0) | 2022.09.01 |
---|---|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순위 (0) | 2022.08.24 |
지역별 범죄율 및 안전도 인식 순위 (0) | 2022.08.05 |
세계 석유회사 순위 (0) | 2022.07.15 |
세계 석유 매장량 순위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