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43

2023년 전국 자원순환센터, 재활용센터 현황

전국 294개소 한국환경공단에서 조사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공공 쓰레기 매립장, 소각장을 제외한 자원순환센터 및 재활용센터, 재생센터 등은 전국에 총 294개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를 광역자치단체 규모 단위로 항목을 나누어 살펴보면 서울이 23개였는데 경기와 전남은 각 37개로 그 숫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반면, 대전에는 단 두 개의 재생센터만 운영 중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서울 23개소 서울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1개 이상의 자원순환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그중에서 동대문구는 숫자는 하나뿐이어도 규모가 꽤 큰 환경자원센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시군구 주소 중구 용산구 성동구 동대문구 중랑구 중랑구 강북구 강북구 도봉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교양상식 2023.10.25

2023년 전국 쓰레기 소각장 현황

전국(183개소) 한국환경공단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는 총 183개소의 공공소각시설이 운영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를 서울, 부산, 경기 등 광역자치단체(지방정부) 별로 구분하여 각 위치와 그 숫자를 알아보겠습니다. 서울(5개소) 서울에는 총 5개 자치구별로 각 1개씩 쓰레기 소각장을 운영하고 있는데 예상외로 강남에도 소각시설이 있다는 점은 새삼 신선하게 느껴집니다. 시군구 주소 노원구 덕릉로 70길 99 은평구 통일로 1053 마포구 하늘공원로 86 양천구 안양천로 1121 강남구 남부순환로 3318 부산(2개소) 부산에는 해운대구와 강서구에 각 1개씩 쓰레기 소각장이 있습니다. 시군구 주소 해운대구 해운대로 898 강서구 명지오션시티 13로 12-11(명지동) 대구(1개소) 대구에는..

교양상식 2023.10.18

2023년 전국 쓰레기 매립지 현황

광역자치단체(12개소)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전국 6개의 광역시에 총 12개의 쓰레기 매립장이 있습니다. 특히, 인천에는 서울 및 인근 수도권 지방의 쓰레기가 모두 모이는 수도권 매립지가 있는데 2025년까지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향후, 연장 및 이전 여부를 두고 큰 논쟁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인천 수도권매립지 현안 논의 8개월째 제자리 수도권매립지 협의체 국장급 회의 내부 인사·국감 겹쳐 무기한 연기 尹 공약 ‘전담기구 신설’도 제자리 일각 “총리실에 컨트롤 타워 요구”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 3-1 매립장 모습. SL공사 n.news.naver.com 시도 시군구 주소 부산 (1) 강서구 생곡동 산6101 대구 (1) 달성군 다사로 820 인천 (5) 서구 백석동 58 옹진군 대청면 산..

교양상식 2023.10.15

전국 교도소, 구치소 위치와 현황

수도권 수도권의 교정시설을 담당하는 곳은 서울지방교정청이며,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번지에 위치합니다. 관할 내 교도소 및 구치소 개수는 총 12개로써 서울(3개), 경기(8개), 인천(1개)에 각 자리하고 있습니다. 기관명 소재지 서울구치소 경기도 의왕시 안양판교로 143 (포일동) 안양교도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경수대로508번길 42 (호계동) 수원구치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팔달문로 176 (우만동) 서울동부구치소 (구)성동구치소 (신)서울특별시 송파구 정의로 37(문정동) (구)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20길 31 (가락동) 인천구치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30 (학익동) 서울남부구치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금오로 865 (천왕동) 화성직업훈련교도소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화성로 741 여주교..

교양상식 2023.10.03

우리나라 독거노인 비중은 얼마나 될까?

국내 고령화지수 고령화지수는 국내 14세 이하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를 수치화하여 살펴보는 것으로써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고령화지수가 100을 넘기면서 노인층이 유소년층보다 더 많아졌습니다. 이후, 출산율 감소 및 의료기술 발달 등으로 고령화지수는 꾸준히 상승하여 2023년 현재는 고령화지수가 167.1에 달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지수 = (65세 이상 인구 ÷ 15세 미만 인구) x 100 연도 고령화지수 연도 고령화지수 2011년 71.0 2018년 111.7 2012년 76.1 2019년 119.2 2013년 81.5 2020년 129.3 2014년 87.0 2021년 1395 2015년 93.0 2022년 152.0 2016년 98.4 2023년 167.1 2017년 10..

교양상식 2023.09.15

2022년 공기업 실적평가 등급표

평가 등급과 성과급의 상관관계 기획재정부에서는 국내 36개 공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실적, 감사 직무수행 실적 등급을 최고 등급인 S급(탁월)부터 최하 등급인 E등급(아주미흡)까지 구분해 평가 결과를 산출했습니다. 이와 같은 경영 평가 결과는 성과급 지급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여기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2022년도에는 경영실적 평가 최우수 등급인 탁월(S)을 받은 공기업이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경영평가 성과급 지급률 - 기관장(기본연봉 대비): 100~0% - 상임이사·감사(기본연봉 대비): 80~0% - 직원(월 기본급, 기준월봉 대비): 250~0%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결과 앞서 간략히 언급했던 것과 같이 국내 공기업 중에서 2022년도에..

교양상식 2023.09.08

2023년 식량지원 필요 국가 리스트

FAO선정 식량지원 필요 국가 FAO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의 약자로 1945년 10월 16일 창설되었습니다. 식량·농업 분야에서 국제협력과 전문 지식을 보급함에 따라 기아 종식 및 영양 수준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 국제기구입니다. 유엔 소속으로 이탈리아 로마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에 194개 회원국, 2개 준회원국, 1개 회원기구를 보유 중인데 우리나라는 1949년 11월 25일 가입했습니다. 이런 FAO에서는 지난 2023년 3월 24일, 홈페이지를 통해 외부의 식량지원이 필요한 나라 45개국을 선정 및 발표했습니다. 대륙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 아프리카가 33개국으로 가장 많았고..

교양상식 2023.09.03

대한민국 반지하 주택: 현황, 문제점,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선택의 모든 것

대한민국의 도심과 대도시에서 자리 잡은 반지하 주택은 경제적인 이유로 주거 공간을 확보하려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지하 주택은 저렴한 가격과 함께 다양한 문제와 고려사항들을 내포하고 있는 주거형태입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대한민국 반지하 주택에 대한 현황과 함께 주요 문제점을 다루며, 지속 가능한 선택을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1. 대한민국 반지하 주택의 현황 대한민국 내 반지하 주택은 주로 도심 지역에서 발견되며, 가격 경쟁력과 주거 공간의 확보를 위해 선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주택 구매나 임대 대안으로 자주 선택되고 있습니다. 반지하 구분 내용 세대수 거주연령 29세 이하 37,000세대 30~40대 9..

교양상식 2023.08.25

2023년 전국 어린이병원 현황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란? 정부에서는 2005년부터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으로 어린이병원 설립계획을 발표하고 어린이 대상 필수의료를 공급하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7년부터는 공공의료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근거하여 꼭 필요하지만 수익성이 낮아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어린이 의료서비스 분야에 공공전문진료센터를 지정 및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로 지정되면 1개 병원당 많게는 약 6억 원에 달하는 필수의료 장비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는 3년 주기로 지정되며 현재는 3기(2023년~2025년)로 총 12개소 진료기관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 역대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 기관수 - 1기(2017~2019년): 7개 기관 - 2기(2020..

교양상식 2023.08.19

우리나라 조선업 세계 순위와 통계

국내 조선소 세계 순위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 리서치'가 2022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집계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5대 조선사가 모두 세계 1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위는 조선사가 2022년 한 해 동안 수주받은 실적액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매겨졌으며 관계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와 같은 소식을 알렸습니다. 조선소 순위 건조량 (21년도) 수주잔량 보유일감 (잔량) 1. 삼성중공업 42척 149척 4.1년치 2. 현대중공업 44척 140척 3.5년치 3. 대우조선해양 32척 120척 3.5년치 4. 현대삼호중공업 30척 99척 3.6년치 8. 현대미포조선 45척 119척 2.4년치 ※ 영국 클락슨 통계, 2022년 12월 말 수주잔량 기준 산..

교양상식 2023.08.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