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54

OECD 국가 자살률 순위

국내 연령별 자살률 인구 10만 명당 자살하는 사람 숫자를 나타내는 통계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살률 또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10대 청소년들의 자살률은 6~7%대로 낮은 편이나 60대는 28~31%, 70대는 38~42%, 80대 이상은 61~63%로써 그 확률이 점점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연령 2020년 2021년 1~9세 0.1 0.0 10~19세 6.5 7.1 20~29세 21.7 23.5 30~39세 27.1 27.3 40~49세 29.2 28.2 50~59세 30.5 301 60~69세 30.1 28.4 70~79세 38.8 41.8 80세 이상 62.6 61.3 ※ 출처 : 통계개발원,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2 국내 남녀별 자살률 2011년부터 ..

교양상식 2023.05.30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순위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환경부에서 발간한 국가온실가스통계집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680백만 톤에서 720백만 톤 사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측정방법은 6대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의 배출량을 이산화탄소 기준으로 환산하여 그 합계를 구했습니다. 연도 온실가스 총 배출량 (단위 : 백만톤) 2011년 684.7 2012년 688.0 2013년 697.3 2014년 692.1 2015년 692.6 2016년 693.6 2017년 710.7 2018년 727.0 2019년 701.4 2020년 656.2 ※ 출처 : 통계개발원,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2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우리 국민 1인당 ..

교양상식 2023.05.27

세계 미세먼지 순위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 환경부에서 발간한 대기환경연보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는 평균적으로 조금씩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조치 시행 및 각 기업들의 배출가스 제한 노력 등이 어느 정도 결실을 맺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연도 농도 2015년 26.1 2016년 26.0 2017년 25.0 2018년 23.2 2019년 23.6 2020년 19.4 2021년 18.7 2022년 17.9 ※ 출처 : 통계개발원,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2 특히, 2020년부터 2022년까지 10퍼센트 대로 낮아진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한 많은 국내외 사업..

교양상식 2023.05.24

OECD 지니계수 순위

지니계수 뜻 지니계수란 빈부격차와 계층 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소득분패지표 중 하나로서 0에서 1 사이의 수치로 표현됩니다. 값이 0에 가까울수록 평등을 뜻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함을 의미합니다. 0 : 완전평등 1 : 완전불평등 우리나라 지니계수 통계청이 발간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10년간 국내 지니계수는 처분가능소득과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했을 때 다소 상반된 추이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해를 거듭할수록 대체로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고 있는 처분가능소득 지표에 비해 시장소득 지표는 지니계수 값이 10년 전과 비교해서 크게 달라진 바가 없었습니다. 연도 처분가능소득 시장소득 2011년 0.388 0.418 2012년 0.385 0.411 2..

교양상식 2023.05.23

우리나라 노령화 지수

노령화지수 계산법 우리나라에서 노인은 만 65세 이상인 사람을 말하는데 노령화지수는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 당 노인 인구의 비율을 뜻합니다. 노령화지수 = (만 65세 이상 인구 ÷ 만 0~14세 인구) × 100 통계청에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약 10년간 우리나라의 노령화지수는 가파르게 상승하여 10년 사이에 노령화지수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노령화지수가 상승하는 폭은 해를 거듭할수록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연도 노령화지수 상승폭 2011년 71.0 - 2012년 76.1 5.1 2013년 81.5 5.4 2014년 87.0 5.5 2015년 93.0 6.0 2016년 98.4 5.4 2017년 105...

교양상식 2023.05.22

소방관 1인당 주민수 통계 현황

연도별 소방관 수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전국의 소방관 숫자는 매년 꾸준히 늘어나 약 3만 8천 명에서 약 6만 4천 명으로 7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연도 소방공무원 수 2011년 37,826명 2012년 38,631명 2013년 39,519명 2014년 40,379명 2015년 42,634명 2016년 44,121명 2017년 48,042명 2018년 52,245명 2019년 55,964명 2020년 60,315명 2021년 64,054명 연도별 소방관 1인당 주민 수 전국적으로 소방공무원 숫자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소방관 1인당 담당해야 하는 주민의 숫자 또한 날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도 소방관 1인당 주민수 2011년 1,341명 2012년 ..

교양상식 2023.05.18

경찰 1인당 주민 수 알아보기

연도별 경찰 1인당 주민수 경찰청 '경찰통계연보' 자료에 의하면 2021년을 기준으로 한 전국의 경찰관 수는 12만 9천 명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중 해양경찰관과 전·의경 및 경찰청 소속으로 근무 중인 별정직, 일반직, 기능직, 계약직 공무원들은 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경찰 1인당 주민 수 = 연도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 ÷ 경찰 공무원 수 따라서 해당 숫자는 순수하게 경찰공무원으로서 지구대, 파출소, 경찰서 등에 근무 중인 사람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경찰공무원의 숫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경찰 1인당 담당해야 하는 주민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기간 동안 전국적으로 약 3만 명의 경찰이 증원되었고 이로써 경찰 1인당 주민 숫..

교양상식 2023.05.12

2022년 철도안전도 평가 등급표

철도안전관리 평가결과 등급표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는 국내 22개 철도운영기관, 철도시설관리기관을 대상으로 철도안전관리 평가를 실시한 뒤 그 등급표를 A, B, C로 구분해 발표했습니다. 등급 (개수) 기관 A (2개) - 광주도시철도공사 - 서울시메트로9호선 B (19개) - 가야철도 - 경기철도 - 공항철도 - 국가철도공단 - 김포골드라인운영 - 대구교통공사 - 대전교통공사 - 부산교통공사 - 부산김해경전철 - 서울교통공사 - 신분당선 - 에스알 - 용인경량전철 - 우이신설경전철 - 의정부경량전철 - 이레알 - 인천교통공사 - 인천국제공항공사 - 전라선철도 C (1개) - 코레일 여기에서 철도사고 및 사상자가 조사기간(2023년 1~4월) 동안 단 한 건도 없었던 광주도시철도공사와 서울시메트..

교양상식 2023.05.11

2022년 세계 부패지수 순위

대한민국 부패인식 지수 순위 우리나라의 부패인식 점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긍정적으로 상향 중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국가순위는 변동폭이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연도 점수 (순위/조사국가수) 연도 점수 (순위/조사국가수) 1995년 4.29점 27위/41개국 2009년 5.5점 39위/180개국 1996년 5.02점 27위/54개국 2010년 5.4점 39위/178개국 1997년 4.29점 34위/52개국 2011년 5.4점 43위/183개국 1998년 4.2점 43위/85개국 2012년 56점 45위/176개국 1999년 3.8점 50위/99개국 2013년 55점 46위/177개국 2000년 4.0점 48위/101개국 2014년 55점 44위/175개국 2001년 4.2점 42위/91개국 201..

교양상식 2023.05.09

2022년 전국 교통량 순위표

대한민국 자동차 등록대수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 등록된 자동차 숫자는 총 2,550만 3천대로 최근 10년간 약 600만 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도 등록대수 2022년 2,550만 대 2021년 2,491만 대 2020년 2,437만 대 2019년 2,368만 대 2018년 2,320만 대 2017년 2,253만 대 2016년 2,180만 대 2015년 2,099만 대 2014년 2,012만 대 2013년 1,940만 대 하루 평균 교통량 전국에 있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중에서 임의로 1개 지점을 선택했을 때 예상되는 하루 평균 교통량은 2022년 기준으로 15,983대로 조사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최근 10년 사이에 19.5%나 증..

교양상식 2023.04.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