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24 신청하기

교양상식

2022년 세계 인플레이션 상승률

징구스칸 2023. 2. 27. 10:59
반응형

%-모양을-남녀-직장인이-줄로-끌어당기고-있다
2022년 세계 인플레이션 상승률

 

세계 인플레이션율(2022년)

비주얼캐피탈리스트에서는 2023년 2월 25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022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각 나라별 인플레이션율을 조사 및 발표했습니다.

세계지도와-나라별-인플레이션-상승률
비주얼캐피탈리스트, 2022년 세계 인플레이션율

조사 결과 작년 한 해 동안 물가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아프리카의 짐바브웨로 전년 대비 무려 269%나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그 뒤를 이어서 중동의 레바논, 남아메리카의 베네수엘라, 중동의 시리아, 아프리카의 수단이 모두 전년 대비 100%가 넘는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했습니다.

순위 국가 인플레이션율
(전년 대비)
1위 짐바브웨 269.0%
2위 레바논 162.0%
3위 베네수엘라 156.0%
4위 시리아 139.0%
5위 수단 103.0%
6위 아르헨티나 88.0%
7위 터키 85.5%
8위 스리랑카 66.0%
9위 이란 52.2%
10위 수리남 41.4%

 

인플레이션 상승 원인

비주얼캐피탈리스트에서는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으로 에너지 가격 급등을 손꼽았습니다.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 이후로 세계 에너지 가격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었는데 2022년 2월 발발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그 상승폭은 더욱 급격하게 올랐습니다.

세계-에너지-가격-추이
비주얼캐피탈리스트, 세계 에너지 가격 추이

여기에 미국연방준비제도의 지속적인 기준금리 상승 또한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금리 상승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의 금리를 함께 상승시키는 연쇄효과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한미-기준금리-추이
연합뉴스, 한미 기준금리 추이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앞선 비주얼캐피탈리스트에서는 2022년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율을 5.7%로 상정한 반면, OECD에서는 2022년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을 4.8%로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2022년 6월을 기준으로 2023년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2.5%, 물가상승률은 3.8%로 전망했습니다.

oecd-한국-경제전망
연합뉴스, oecd 한국 경제전망

반응형